다발성경화증 #자가면역질환 #Multiplesclerosis #다발성경화증치료 #염증 #중증난치질환 2

다발성경화증 최신 치료제와 임상시험 동향 (2025년 기준)

1. Tolebrutinib: 비재발성 이차진행형 MS의 새로운 희망최근 다발성경화증(MS) 치료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약 중 하나는 BTK 억제제다. 특히 Tolebrutinib은 비재발성 이차진행형 MS 환자를 대상으로 한 HERCULES 3상 임상시험에서 6개월 확정 장애 진행(CDP) 위험을 약 31% 낮추는 효과를 보여 큰 관심을 받고 있다. BTK 억제제는 B세포와 미세아교세포 등 면역세포 신호를 조절하여 염증을 완화하고 중추신경계 손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. 이번 결과는 기존 치료제가 제한적이었던 비재발성 진행형 환자에서도 장애 진행을 늦출 수 있음을 보여, MS 치료 전략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평가된다.12. Fenebrutinib: 재발형 및 일차진행형 MS에서의 가능성동시에 F..

건강정보 16:37:57

다발성경화증과 직업적 어려움

다발성경화증(Multiple Sclerosis, MS)은 만성 신경계 질환으로, 신체적, 인지적, 정서적 기능에 영향을 미쳐 직업적 활동에 상당한 제약을 초래할 수 있다. 재발과 점진적 신경손상, 피로, 근력 약화, 인지 기능 저하 등은 직무 수행 능력 감소와 직장 내 적응 문제를 유발하며, 장기적으로 직업 유지와 경력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. 최근 연구에서는 직업적 기능 감소, 근로 시간 제한, 직장 내 적응 문제와 질환 특성 간의 상관관계가 점차 명확히 규명되고 있다.1. 신체적 기능 저하와 직무 수행MS 환자는 근력 약화, 균형 및 협응 장애, 만성 피로 등 신체적 기능 저하로 인해 직무 수행에 어려움을 경험한다. 반복적인 탈수초화와 신경 손상으로 인해 신체적 능력이 감소하면, 장시간 근무, 육체적..

건강정보 2025.09.17